완전연소의 승부사 ‘슈퍼 에이스’ 최동원
1989년에 최동원이 삼성 라이온즈 유니폼을 입고 나타났다. 야구장에서 좀처럼 보지 못했던 어색한 풍경이었다. 하늘색 라이온즈 유니폼은 마치 얻어 입은 것처럼 겉돌았고, 최동원이 빠지고도 롯데 자이언츠를 여전히 ‘롯데 자이언츠’라고 부른다는 사실 또한 현실감 있게 느껴지지 않았다. 해마다 연봉 협상에서 몇 십만 원 되지도 않는 돈을 놓고 자존심 싸움을 하느라 질려버린 데다가 선수회 결성을 주도하며 미운털이 박힌 골칫덩어리를 그만 치워버리고 싶었던 롯데, 그리고 어떻게든 우승을 하려면 최동원 같은 근성과 투지의 에이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삼성의 이해관계가 맞물린 결과였다. 한국 프로야구사상 유일무이한 ‘한국시리즈 4승 투수’ 최동원과 ‘최초의 100승 투수’ 김시진이 유니폼을 바꿔 입는 초대형 트레이드는 그렇게 이루어졌고, 두 투수의 전설도 그 순간부터 서둘러 막을 내리고 말았다.
선동열보다 더 사랑받았던 단 한 사람
프로야구가 출범하기 전이었던 1980년대 초반, 형이 선린상고에 다닌다든가, 아버지가 군산상고나 경북고 출신이라든가 하는 특별한 축복을 받지 않은 평범한 열 살 안쪽의 아이가 야구라는 단어에서 떠올리는 첫 번째 이름은 단연 최동원이었다. 축구라면 차범근, 농구라면 신동파… 최동원이란 이름은 그야말로 야구의 대명사였다. 그 뿐인가?
‘한 시간 동안 움직일 수 있는 거리’인 시속이라는 물리학의 개념을 초등학생 꼬마 녀석들이 알 수 있었던 것 또한 순전히 최동원 때문이다. 그리고 스피드건이 어떻게 생긴 물건인지는 모르지만, 그걸로 최동원의 공을 측정했더니 나왔다더라는 150이라는 숫자(달리는 버스보다 세 배나빠른 속도라고 담임선생님이 친절히 설명해주셨던)는 경이의 대상이었다. 신동파의 50득점(3점 슛이 없던 시절의 기록), 차범근의 98골, 장훈의 현실감 없는 또 하나의 경지일 뿐이었다.
그러나 그 대단하다는 최동원이 프로 무대에 나타났던 1983년, 동네 아저씨들은 이미 예전의 최동원이 아니라며 고개를 저었고, 한 오륙 년 전에 프로리그가 생겼으면 한 몫 했을 거라고 안타까워했다. 지금 따져보면 208.2이닝을 던지며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대활약이었음에도 사람들은 이기는 경기(9승)보다 지는 경기(16패)가 훨씬 많은데다가 427.1이닝을 소화한 장명부의 절반만큼도 못던지는 ‘유리어깨’ 최동원을 용납하지 못했다. 하기야 경북고와 선린상고를 상대로 이틀 연속 등판해 17이닝동안 노히트노런을 이어가고 군산상고를 상대로 20개의 삼진을 빼앗아내던 경남고 시절, 그리고 일주일동안 여섯 경기에 등판해 3승을 따내며 ‘코리안시리즈’를 석권했던 실업야구 롯데 시절의 완벽투에 대한 기억과 마주 세우자면 초라할 수밖에 없는 기록이 아닌가. 그러나 이미 오륙 년 전쯤 지나가버렸다는 그의 전성기에 대한 궁금증이 쌓여갈 무렵 그는 제대로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고, 전설적인 84년의 대폭발을 보여주었다.
동원아, 오늘도 던질 수 있겠나?
한국 프로야구사상 ‘한 시즌 최다승 투수’로 기록되어 있는 선수는 1983년에 30승을 올린 장명부다. 그러나 말 그대로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승리를 기록한’ 투수는 정규시즌의 27승에 이어 한국시리즈 4승을 올린 1984년의 최동원이었다. 원년 에이스 노상수의 군 입대, 부산의 기대주 양상문 · 윤학길의 아마추어 잔류로 마운드에 공백이 생기면서 3년째 하위권을 맴돌 것이라던 1984년의 롯데가 한국시리즈 우승컵을 안았다는 사실은 거의 기적이었다. 최동원이 1.3.5. 7차전에서 완투(3승 1패)하고 6차전에서 구원승(5이닝 무실점)을 올려 홀로 우승을 이끌었던 그해의 한국시리즈는 한국야구사의 두 번 다시 없을 기적이 분명하다.
임호균을 필두로 배경환 · 안창완 같은 투수들이 앞서나가기 시작한 경기를 최동원에게 넘겨주는 순간까지 버텨내다가 5회 이전이라도 미련 없이 마운드를 걸어 내려올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1할 타자 유두열이 끝내 희망을 놓지 않고 삼성 라이온즈 김일융의 지친 호흡을 노려 한국시리즈 7차전 역전 결승홈런을 만들어낸 힘의 원천은 무엇일까? 그것은 전날 등판하고도 다시 어깨를 붕붕 돌리며 나타난 최동원이 숨가쁜 1승을 만들어주리라는 진땀나는 믿음 덕분이 아니었을까.
가장 위대하진 않지만 가장 사랑받는 투수
최동원은 부실한 팀을 한 어깨로 끌고 나가는 선봉장이었고, 무수한 공백을 한 몸으로 막아내는 수문장이었기에 에이스를 넘어 ‘수퍼 에이스’라는 찬사가 붙여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는 ‘에이스’라는 이름이 주는 단단하고 든든한 느낌을 넘어서는 매력을 가진 선수였다. 연속홈런을 두려워하지 않고 상대 타자가 뻔히 알고 기다리는 길목으로 승부구를 우겨넣어 3구 삼진을 노리는 배짱이 있었고, 홈런을 맞은 타자가 다음 타석에 다시 들어섰을 때 똑같은 코스로 더 강한 공을 던지는 오기의 승부사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투수가 누구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 앞에서 우리는 항상 한 호흡 멈칫하게 된다. 선동열과 최동원이라는 이름 두 개가 동시에 튀어나와 같은 극의 자석처럼 부대끼기 때문이다.
물론 프로야구의 시대로 한정 짓자면, 선동열보다 위대한 업적을 남긴 투수는 최동원을 포함해 아무도 없다. 다승으로든 평균자책점으로든, 선발투수로든 마무리투수로든, 그는 가장 완벽하고 가장 압도적인 투수임이 분명하다. 그리고 시간과 공간의 장벽을 넘어 꼭 이겨야만 하는 경기의 감독으로서 가장 절박한 순간에 마운드에 올릴 투수를 고민해본다면, 나 역시 최선의 선택은 선동열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단순히 이기고 지는 것을 넘어 박살을 내고 가루를 만들어버려야만 하는 자존심의 대결이라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그런 순간이라면, 나는 어제 경기에서 15이닝쯤 완투한 피로를 이기지 못해 주저앉아 있을망정 다시 한 번 최동원을 불러내고 싶다. 그는 어떤 상황에서도 무너지지 않는다는 믿음을 주는 전형적인 에이스는 아니지만 걸어야 할 것을 걸고 노려야 할 것을 노려 뼈까지 완전히 연소시켜버리는 처절한 승부사였기 때문이다.
그는 선동열보다 조금 더 많은 나이, 조금 더 소모된 어깨, 그리고 훨씬 허약한 전력의 팀이라는 불리한 조건 속에서 뛰었던 선수라는 이유로 수많은 팬들의 애틋함과 아쉬움과 안타까움을 담은 지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그에게 좀 더 어린 나이, 싱싱한 어깨, 강한 타선이 주어졌다고 해서 선동열보다 나은 성적을 냈으리라고 단정할 수도 없다. 아니, 그런 상상 자체가 구차스럽다.
냉정하게 한 명의 이름만 말하자면 최동원은 사상 최고가 아니다. 그리고 화려했던 한 순간을 지낸 뒤로는 그리 빛나는 길만을 걸어온 이도 아니다. 그러나 그는 한국 프로야구사상 가장 깊고 애틋한 사랑을 받는 투수임에는 틀림없다. 마치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콩 볶는 듯한 총성 속으로 돌진하던 <정무문>의 이소룡 혹은 <내일을 향해 쏴라>의 로버트 레드포드와 폴 뉴먼처럼, 길고 긴 여운을 남기는 말 그대로 한국야구의 상징이고 드라마이며 추억이다. 앞으로 그가 다시 무엇이 되어 우리 앞에 나타나든 상관없이 말이다.
참조: 불사조 박철순
답글 남기기